맨위로가기

밀양 박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양 박씨는 신라 경명왕의 장남 박언침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는 문벌 귀족으로 성장했고, 조선 건국에 기여한 박위가 회군 공신이 되었다. 이후 여러 파로 분파되었으며, 문과 급제자 261명, 무과 급제자 1125명 등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주요 인물로는 박심문, 박중손, 박건, 박제가 등이 있으며, 현대에는 박맹우, 박준, 박재상, 박보영, 박형식, 박지민 등이 있다. 2015년 기준 약 310만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대한민국과 북한에 집성촌이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양 박씨 - 박원순
    박원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 시민운동가, 사회적 기업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사망했다.
  • 밀양 박씨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밀양 박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밀양 박씨
다른 이름밀성 박씨
로마자 표기Miryang Park
한자 표기密陽朴氏
한자 표기 (다른 이름)密城朴氏
유형씨족
기원한국 경상남도 밀양시
창시자박언침
웹사이트밀양 박씨 공식 웹사이트
문장
밀양 박씨 종문
밀양 박씨의 종문
주요 인물
시조박언침
중시조박언부
박언상
박언인
박중미
박양언
박천익
박을재
박원
박척
박원광
박천익
박위
박현
주요 인물박의중
박위
박연
박중손
박미
박영
박충원
박근원
박진
박선
박이서
박민서
박승종
박제가
박은식
박희광
박태준
박인천
박두병
박관용
박상천
박삼구
박찬구
박맹우
박한철
박완수
박원순
박형준
명빈 박씨
역사
설립 시기확인 필요
가조박혁거세
관련 유적신라오릉보존회
거주 지역
집성촌경상남도 밀양시
경상남도 의령군
경상북도 경주시
경상북도 청도군
전라남도 장성군
전라남도 진도군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북도 청주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인구 정보
2015년 인구3,168,084명
순위2위

2. 역사

신라를 건국한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원시조로 한다. 신라 제54대 경명왕의 장남인 밀성대군 '''박언침'''(朴彦忱)을 시조로 삼는다. 박언침의 아들 박욱(朴郁)은 고려 시대에 기인제를 통해 조정에 출사하여 삼한벽상공도대장군에 올랐으며, 이를 계기로 후손들이 관직에 진출하기 시작했다.

7세손 박언부(朴彦孚)는 고려 문종 때 태사중서령을 거쳐 문하시중에 오르는 등 가문의 명성을 높였다. 이후 여러 후손들이 고위 관직을 역임하며 밀양 박씨는 문벌 귀족 가문으로 성장했다. 주요 인물과 경력은 다음과 같다.

인물주요 경력
박언부(朴彦孚)고려 문종 때 태사중서령, 문하시중
박언상(朴彦祥)도평의사사
박언인(朴彦仁)좌복야
박양언(朴良彦)밀직부사
박천익(朴天翊)판도판서
박을재(朴乙材)좌윤



고려 말인 1389년(창왕 1년)에는 박위(朴葳)가 대마도 정벌을 주도하였으며, 이후 이성계를 도와 조선 건국에 참여하여 회군공신이 되었다.

밀양 박씨는 이후 12개의 파로 나뉘고, 다시 여러 지파로 분파되어 현재까지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 또한, 10여 개의 다른 성씨 본관으로 분적(分籍)되기도 하였다.[14]

3. 분파


  • 문하시중공파(門下侍中公派) 박언부(朴彦浮)
  • 도평의사사공파(都評議使司公派) 박언상(朴彦祥)
  • * 돈재공파(遯齋公派) 박연생(朴衍生)
  • 좌복야공파(左僕射公派) 박언인(朴彦仁)
  • 밀직부사공파(密直副使公派) 박양언(朴良彦)
  • 판도판서공파(版判圖判公派) 박천익(朴天翊)
  • 좌윤공파(左尹公派) 박을재(朴乙材)
  • * 정국군파(靖國君派) 박위(朴威)
  • 양정공파(襄靖公派) 박령(朴齡)
  • 사문진사공파(四門進士公派) 박원(朴元)
  • 밀성군파(密城君派) 박척(朴陟)
  • * 판서공파 박밀양(密陽)
  • ** 현령공파 박즙
  • ** 직장공파 박경
  • ** 봉사공파 박위
  • ** 첨정공파 박유
  • ** 주부공파 박찬
  • ** 청제공파 박수
  • ** 부마공파 박갱
  • * 대제학공파 박대양(大陽)
  • * 진사공파 박소양(紹陽)
  • * 정언공파 박삼양(三陽)
  • * 참찬공파 박계양(啓陽, 일명:敦之)
  • * 장사랑공파 박재양(載陽)
  • 영동정공파(영동정派) 박원광(朴元光)
  • 밀직부원군파(密直府院君派) 박중미(朴中美)
  • 규정공파(糾正公派) 박현(朴鉉)
  • * 간성공(杆城公) 박지생(朴祗生)
  • * 간의공(諫議公) 박사인(朴思仁)
  • * 경력공(經歷公) 박효원(朴孝元)
  • * 공간공(恭簡公) 박건(朴健)
  • * 군수공(郡守公) 박사민(朴思敏)
  • * 대간공(大諫公) 박의영(朴義榮)
  • * 낙봉공(駱峰公) 박근원(朴謹元)
  • * 여산공(礪山公) 박재현(朴齋賢)
  • * 선곡공(仙谷公) 박안현(朴顔賢)
  • * 송월당(松月堂) 박호원(朴好元)
  • * 승지공(承旨公) 박안영(朴安榮)
  • * 전한공(典翰公) 박인원(朴仁元)
  • * 절도공(節度公) 박대손(朴大孫)
  • * 지평공(持平公) 박우현(朴友賢)
  • * 찬성공(贊成公) 박신생(朴信生)
  • * 참군공(參軍公) 박용현(朴用賢)
  • * 참판공(參判公) 박눌생(朴訥生)
  • * 청재공(淸齋公) 박심문(朴審問)
  • * 충정공(忠靖公) 박숭원(朴崇元)
  • * 해백공(海伯公) 박소영(朴召榮)
  • * 호군공(護軍公) 박의문(朴疑問) 눌재공(訥齋) 박증영(朴增榮) - 2개파
  • * 문도공(文度公) 박훈(朴薰)
  • * 주부공(主簿公) 박혜(朴蕙) 낙촌공(駱村) 박충원(朴忠元) - 9개파
  • * 김제공(金提公) 박승황(朴承黃)
  • * 별좌공(別坐公) 박응현(朴應賢)
  • * 부정공(副正公) 박안민(朴安民)
  • * 숙민공(肅愍公) 박승종(朴承宗)
  • * 양성공(陽城公) 박승안(朴承顔)
  • * 연안공(延安公) 박승조(朴承祖)
  • * 영해공(寧海公) 박안국(朴安國)
  • * 화록공(華麓公) 박호현(朴好賢)
  • * 무민공(友思榮) 성무민(崇祗民)

3. 1. 분적

본관한자시조시조 한자
진원 박씨珍原 朴氏박진문朴進文
문의 박씨文義 朴氏박연朴衍
영암 박씨靈巖 朴氏박항朴桓
창원 박씨昌原 朴氏박령朴齡
나주 박씨羅州 朴氏박병묵朴炳默
진주 박씨晋州 朴氏박화규朴華奎
태안 박씨泰安 朴氏박원의朴元義
구산 박씨龜山 朴氏박천朴蕆
여주 박씨驪州 朴氏박지석朴之碩
운성 박씨雲城 朴氏


4. 주요 인물

밀양 박씨는 역사적으로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 박톤지 (1342년 ~ 1422년):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이자 관료이다.

4. 1. 역사 속 인물

신라를 건국한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원시조로 하며, 신라 제54대 경명왕의 장남 밀성대군 '''박언침'''(朴彦忱)을 시조로 한다. 밀성대군의 아들 박욱(朴郁)이 고려 조정에 기인제로 출사하여 삼한벽상공도대장군에 오르면서 후손들이 관직에 진출하기 시작했다.

7세 박언부(朴彦孚)는 고려 문종 때 태사중서령을 역임하고 문하시중에 올랐다. 또한 후손 중 박언상(朴彦祥)은 도평의사사, 박언인(朴彦仁)은 좌복야, 박양언(朴良彦)은 밀직부사, 박천익(朴天翊)은 판도판서, 박을재(朴乙材)는 좌윤 등을 역임하며 문벌 귀족 가문으로 성장했다. 고려1389년(창왕 1)에는 박위(朴葳)가 대마도 정벌을 주도하였으며, 이후 이성계를 도와 조선 건국에 참여하여 회군공신이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261명, 무과 급제자 1125명, 생원진사 급제자 756명을 배출하였다. 또한 상신 1명, 대제학 2명, 청백리 2명, 공신 6명을 배출하며 명문가의 지위를 이어갔다.[14]

이름주요 활동 및 관직비고
박심문(朴審問)세종 ~ 세조 때 문신, 김종서의 6진 개척 당시 종사관단종 복위 운동에 연루되어 자결
박중손(朴仲孫)좌참찬, 밀산군(密山君)계유정난 공신
박건(朴楗)문신, 우참찬, 밀산군(密山君)중종 반정 공신
박훈(朴薰)조선 중기 문신, 사헌부 지평, 동부승지
박충훈(朴忠勳)조선 중기 문신, 대사성, 양관 대제학, 이조판서, 밀원군(密原君)
박계현(朴啓賢)조선 중기 문신, 대사헌, 병조판서, 중추부지사
박승종(朴承宗)광해군삼정승, 밀양부원군(密陽府院君)박계현의 손자, 숙민공(肅愍公)
박영(朴英)조선 전기 무신, 영남도병마절도사
박충원(朴忠元)대제학
박열(朴說)중종 때 문신, 이조판서, 대사헌, 우찬성청백리
박신규(朴信圭)숙종 때 문신, 경상도관찰사, 형조판서, 호조판서청백리
박제가(朴齊家)조선 후기 실학자북학파


4. 2. 현대 인물


  • 박맹우 (1951년생): 대한민국 정치인[3]
  • 박준 (1969년생): 한국계 미국인 가수 겸 연예인, 그룹 god 멤버[4]
  • 박재상 (또는 "싸이", 1977년생): 대한민국 가수[5]
  • 박보영 (1990년생): 대한민국 배우[6]
  • 박형식 (1991년생): 대한민국 배우 겸 가수[6]
  • 박지민 (또는 "지민", 1995년생): 대한민국 가수, 그룹 방탄소년단 멤버[7]

5. 항렬자

口호(浩)
口병(秉)치(稚)
口보(輔)
용(容)
수(秀)광(光)
口훈(勳)
口원(遠)
口균(均)수(壽)
口희(羲)
상(商)
기(基)선(善)
口현(鉉)
석(錫)
口한(漢)영(泳)
口수(洙)
택(澤)
주(柱)식(植)
근(根)
환(桓)
口연(然)엽(燁)
유(裕)
섭(燮)
훈(勳)희(喜)
口곤(坤)
재(宰)
길(吉)종(鍾)
은(銀)
용(鏞)
강(鋼)태(泰)
口연(淵)
해(海)
수(洙)병(柄)
口상(相)
식(植)
남(楠)환(煥)
은(恩)
형(炯)환(桓)
口균(均)
기(基)현(鉉)
口진(鎭)
용(鎔)
호(鎬)영(永)
한(漢)
호(浩)수(秀)
동(東)
모(模)섭(燮)
口환(煥)
열(烈)중(重)
口배(培)
교(敎)석(錫)
口호(浩)
종(鍾)


20세
64세
21세
65세
22세
66세
23세
67세
24세
68세
25세
69세
26세
70세
27세
71세
28세
72세
29세
73세
30세
74세
31세
75세
32세
76세
33세
77세
34세
78세
35세
79세
36세
80세
재(載)
기(基)
口진(鎭)
口수(銖)
준(準)
영(永)
口래(來)
口화(和)
노(魯)
성(性)
병(炳)
희(熙)
口재(在)
口신(信)
口규(圭)
용(鏞)
상(商)
종(鍾)
口호(浩)
口수(洙)
口순(淳)
口원(源)
인(仁)
주(柱)
상(相)
口열(烈)
口용(容)
口희(熙)
중(重)
시(時)
준(俊)
口호(鎬)
口흠(欽)
口구(九)
해(海)
윤(潤)
한(漢)
口식(植)
口근(根)
口권(權)
연(然)
헌(憲)
응(應)
口요(堯)
口균(均)
口배(培)
선(善)
옥(鈺)
수(銖)


24세
68세
25세
69세
26세
70세
27세
71세
28세
72세
29세
73세
30세
74세
31세
75세
32세
76세
33세
77세
34세
78세
35세
79세
36세
80세
37세
81세
38세
82세
39세
83세
40세
84세
41세
85세
42세
86세
43세
87세
44세
88세
45세
89세
46세
90세
47세
91세
48세
92세
49세
93세
50세
94세
口현(顯)
口렬(㤠)
재(在)
재(載)
口종(鍾)
口호(鎬)
태(泰)
제(濟)
口동(東)
口상(相)
형(炯)
훈(焄)
口철(喆)
口균(均)
동(錬)
선(善)
口원(源)
口식(湜)
병(秉)
주(柱)
口수(壽)
口혁(爀)
돈(墩)
길(吉)
口회(會)
口용(鏞)
택(澤)
승(承)
口춘(椿)
口걸(杰)
경(炅)
광(光)
口제(堤)
口성(城)
태(兌)
영(鈴)
口해(海)
口윤(潤)
근(槿)
영(榮)
口돈(燉)
口희(熙)
사(仕)
요(堯)
口록(錄)
口옥(鈺)
준(浚)
구(求)
口락(樂)
口업(業)
연(然)
찬(燦)
口곤(坤)
口수(壽)


22세
63세
23세
64세
24세
65세
25세
66세
26세
67세
27세
68세
28세
69세
29세
70세
30세
71세
31세
72세
32세
73세
33세
74세
34세
75세
35세
76세
36세
77세
37세
78세
38세
79세
39세
80세
40세
81세
승(承)口병(秉)용(容)口원(遠)상(商)口준(濬)주(柱)口연(然)종(琮)口용(鏞)해(海)口직(稷)사(思)口성(城)기(冀)口봉(鳳)정(汀)口래(來)형(炯)


23세
59세
24세
60세
25세
61세
26세
62세
27세
63세
28세
64세
29세
65세
30세
66세
31세
67세
32세
68세
33세
69세
34세
70세
35세
71세
36세
72세
37세
73세
38세
74세
39세
75세
40세
76세
41세
77세
口호(浩)래(來)口하(夏)희(喜)口용(用)
口진(鎭)
口현(鉉)
범(範)
수(洙)
세(世)
병(昞)
상(相)
회(會)
口정(正)
口연(然)
口영(寧)
의(義)
기(基)
재(載)
口기(紀)
口호(鎬)
口용(鏞)
口순(淳)
口재(宰)
口영(榮)
종(種)
노(魯)
口계(癸)
口규(圭)
口중(重)
口석(錫)
희(熙)
원(源)
口병(炳)
口동(東)
연(衍)
열(烈)
口성(成)
口기(基)


27세
63세
28세
64세
29세
65세
30세
66세
31세
67세
32세
68세
33세
69세
34세
70세
35세
71세
36세
72세
37세
73세
38세
74세
희(熙)
휴(烋)
口규(奎)
口기(基)
용(鏞)
선(善)
口수(洙)
口흡(洽)
병(棅)
기(棋)
口돈(燉)
口엽(燁)
중(重)
남(南)
口호(鎬)
口용(鎔)
락(洛)
영(泳)
口동(東)
口주(柱)
병(炳)
현(炫)
口헌(憲)
口석(錫)


14세
58세
15세
59세
16세
60세
17세
61세
18세
62세
19세
63세
20세
64세
21세
65세
22세
66세
23세
67세
24세
68세
25세
69세
26세
70세
27세
71세
28세
72세
29세
73세
30세
74세
31세
75세
32세
76세
33세
77세
34세
78세
35세
79세
36세
80세
37세
81세
38세
82세
口화(和)희(熙)口재(在)종(鍾)口제(濟)동(東)
래(來)
口묵(默)중(重)口진(鎭)해(海)口상(相)용(容)口원(遠)회(會)口영(永)변(變)口환(煥)기(基)口석(錫)태(泰)口근(根)병(炳)口배(培)용(鏞)口택(澤)


23세
64세
24세
65세
25세
66세
26세
67세
27세
68세
28세
69세
29세
70세
30세
71세
31세
72세
32세
73세
33세
74세
34세
75세
35세
76세
36세
77세
37세
78세
38세
79세
39세
80세
40세
81세
41세
82세
42세
83세
영(永)용(容)口균(均)종(種)한(漢)병(柄)口희(熙)규(奎)口석(錫)연(淵)口상(相)사(思)口성(城)기(冀)口봉(鳳)口정(汀)口래(來)口형(炯)口배(培)만(鏋)


27세
68세
28세
69세
29세
70세
30세
71세
31세
72세
32세
73세
33세
74세
34세
75세
35세
76세
선(善)
준(濬)
영(泳)
주(柱)
근(根)
연(然)
유(裕)
종(種)
희(喜)
용(鏞)
상(常)
해(海)
연(淵)
식(植)
화(和)
사(思)
병(炳)
성(城)


6. 집성촌

밀양 박씨는 한반도 전역에 걸쳐 집성촌을 이루며 세거해 왔다. 주요 집성촌의 상세한 분포는 아래와 같다.

6. 1. 대한민국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12]에 따르면 대한민국 내 밀양 박씨의 주요 집성촌은 다음과 같다.

밀양 박씨 집성촌
광역 행정 구역기초 행정 구역 및 세부 지역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북도
충청남도·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
경상북도·대구광역시
경상남도·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 전역



2015년 통계[12] 기준으로 인구 대비 밀양 박씨 비율이 높은 지역은 다음과 같다.

6.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wiki

시/군/면/리
황해도금천군 토산면 연암리
황해도벽성군
황해도은율군
황해도연백군 호남면 개현리
황해도송화군 진풍면
황해도신천군 가련면
황해도재령군 서호면 재천리
황해도서흥군 내덕면 상고리
황해도해주시
황해도황주군
평안남도대동군 고평면
평안남도순천군
평안남도양덕군
평안남도성천군
평안남도용강군 오신면 송정리
평안남도중화군
평안남도평원군
평안남도개천군
평안북도의주군
평안북도박천군
평안북도정주군
평안북도구성군 사기면
평안북도태천군 강서면 마장동
평안북도영변군 고성면 구황동
평안북도선천군 군산면 용동
평안북도삭주군 삭주면 대대동
평안북도위원군 위원면 월평동, 화창면
평안북도강계군 만포읍 일원
평안북도자성군 중강면 만흥동
평안북도후창군 후창면 군내동, 장흥동
함경남도흥남시 일원
함경남도함주군 하조양면, 동천면 일원
함경남도영흥군 횡천면, 억기면
함경남도고원군 산곡면 일원
함경남도안변군 환곡면, 신모면 일원
함경남도홍원군 천하리, 용포면 외하리, 보현면 용서리
함경남도북청군 후창면 당우리, 덕성면 주의리, 상거서면, 하거서면
함경남도이원군 남송면 일원
함경남도단천군 북두일면, 신만면
함경남도신흥군 원평면, 서고천면, 영고면
함경남도장진군 상남면
함경북도경성군 경성면
함경북도길주군 웅평면 남이동


7. 인구

2000년 통계청 인구조사 결과 946,307가구, 3,031,478명으로 조사되었다.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서는 밀양 박씨 3,103,942명, 밀성 박씨 64,142명으로 총 3,168,084명으로 집계되었다.[12]

2015년 통계청[12] 기준 주요 집성촌은 다음과 같다.

지역인구수 (2015년)총인구 대비 비율비고
충청남도 예산군5,392명7.19%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13,799명5.87%오송읍 연제리
경상북도 청도군4,368명11.68%금천면 신지동
경상남도 밀양시7,480명7.9%
경상남도 의령군1,768명7.21%
전라남도 진도군4,469명16.19%조도면, 의신면 칠다리[13] (전국 최고 비율)


참조

[1] 웹사이트 밀양 박씨(密陽朴氏) - 부산역사문화대전 http://busan.grandcu[...] 2024-01-26
[2] 웹사이트 밀양박씨 - 디지털세종시문화대전 http://www.grandcult[...] 2024-01-26
[3] 웹사이트 박맹우(朴孟雨) https://rokps.or.kr/[...] 2024-04-24
[4] 웹사이트 [스브스타] god 박준형, 박근혜 전 대통령과 셀카를?…"누나 눈 감았어" https://news.sbs.co.[...] 2024-04-24
[5] 웹사이트 꼬마 싸이 국적 논란, 싸이는 정말 한국인인가 http://www.mediatoda[...] 2023-08-17
[6] 웹사이트 박보영 드라마 주연, 밀양박씨 가문 ‘재력’ 초점 https://www.skyedail[...] 2024-04-24
[7] 웹사이트 [움짤] 방탄소년단(BTS) 지민, 글로벌 버터 '꽃받침'~ https://enews.imbc.c[...] 2024-01-23
[8]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9
[9] 웹사이트 문서뷰어 http://kostat.go.kr/[...] 2022-07-07
[10] 웹사이트 漢陽趙氏 ― 朝鮮人の姓名 http://www.tufs.ac.j[...] 2019-07-15
[11] 웹사이트 관향별소개 1 페이지 {{!}} 신라오릉보존회 http://www.panparks.[...] 2022-09-04
[12]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13] 웹사이트 박씨(朴氏) 본관(本貫) 밀양(密陽)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14] 일반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